마지막 업데이트 : 2020.01.09
지주막하출혈은 뇌의 표면에서 지주막 아랫층에 있는 동맥에 생긴 혹(동맥류)이 찢어져 지주막하에 출혈이 일어나는 질병입니다.
뇌경색,뇌출혈, 지주막하출혈을 흔히 말해 "뇌졸중"라고 부릅니다. 지주막하출혈은 뇌졸중의 약 10% 정도입니다. 다만, 혈관이 굵기때문에 일반적인 출혈보다 정도가 강하고 다른 뇌졸중과 비교하여 생명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지주막하출혈은 뇌동맥류 (뇌에 생긴 동맥류)가 파열이 되어 발생합니다. 뇌동맥 류는 혈관이 갈라지는 곳에 생기기 쉽지만, 원인은 분명하지 않습니다. 현재에 이르러 위험 요인으로 추측하는 것은 바로 다음 네 가지가 지적되고 있습니다.
・ 고혈압
・흡연
・ 과도한 음주
・ 가족력
지주막하출혈이되면 갑작스레 심한 두통과 구토가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지주막 출혈의 징조는 '가벼운 두통'과 '안구 신경 마비'를 들 수 있지만, 반드시 이러한 징조가 보인다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.
또한 지주막하출혈은 출혈량이 많고 심한 경우에는 의식이 없어지거나, 돌연 빈사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증상이나 진찰에서 지주막하출혈을 의심 할 경우에는 즉시 두부 CT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해야합니다. 의식 장애가 생각보다 심하지않고 CT 검사 결과로 심한 출혈이 보이지 않다면 수술을 위한 검사를 실시하게됩니다. 구체적으로는 혈관 내 카테터를 이용한 뇌 혈관 촬영이나 조영제를 사용한 머리 CT 검사를 실시하여 원인이 되는 파열된 동맥류의 위치와 모양, 크기 등을 파악하게됩니다.
지주막하출혈은 매우 위험한 질환이므로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, 집중치료 및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.
집중 치료는 호흡과 순환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혈압을 적절한 값으로 제어하게 됩니다. 또한 의식 장애가 심하여 호흡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, 인공호흡을 통해 관리하게됩니다.
응급 수술은 파열 된 동맥류를 막고 동맥류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합니다. 수술 방법은 주로 다음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.
・클리핑법(clipping; 개두 수술)
・코일법 (coiling; 혈관 내 수술)
클리핑법(clipping; 개두 수술)
클리핑법은 수술실에서 머리뼈를 열어 현미경을 사용하여 출혈의 원인이 되는 뇌동맥류를 금속 클립으로 찝어고 동맥류를 잡아서 재출혈을 방지합니다.
코일법 (coiling; 혈관 내 수술)
코일법은 동맥에 카테터를 사용하여 원인이 되는 뇌동맥류 속에 얇은 금속 코일을 넣어, 안쪽을 채우는 방법입니다.